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
-
원상태의 아담은 과연 어떤 상태에 있었는가?(1)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 2025. 4. 12. 13:31
298 (2025년 4월호): 129-32에 실린 글을 여기에도 올려서 더 많은 분들이 보도록 하니 부디 많은 분들이 보시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14) 원상태의 아담은 과연 어떤 상태에 있었는가?(1) 생명나무에 대해서 자기 나름의 이해를 하면서 한편으로는 그 실재성을 잘 인정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생명나무를 좀 문자적 이해를 하여 조금의 문제를 드러낸 카이퍼는 창조 받은 아담에 대해서는 매우 정확하고 바른 견해를 잘 드러내고 있다. 기본적으로 창조된 아담에 대한 개혁파적인 이해를 천주교의 “반쯤..
-
에덴 동산에 있던 생명나무에 대한 이해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 2025. 4. 12. 13:23
295 (2025년 1월호): 118-21에 실린 글을 여기에도 올려서 더 많은 분들이 보도록 하니 부디 많은 분들이 보시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13) 에덴 동산에 있던 생명나무에 대한 이해 창세기 기록 중에서 몇 가지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신학적 성향이 명확히 드러난다. 19세기 이후에는 이 생명나무가 에덴 동산에 실재했다고 보느냐의 여부가 신학적 차이의 중요한 출발점이다. 학생 시절과 초기 목사일 때의 자유주의적 카이퍼와는 달리 원숙한 카이퍼는 이..
-
처음 창조된 상태에 대한 바른 이해(2): 처음 창조되었을 때의 상태와 수명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 2025. 1. 12. 19:02
295 (2025년 1월호): 129-32에 실린 글을 여기에도 올려서 더 많은 분들이 보도록 하니 부디 많은 분들이 보시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아담의 원상태에 대해 생각하면서 카이퍼는 인간이 처음 창조되었을 때의 수명에 대한 자신의 추론을 한 장을 들여 길게 논의하고 있다(Common Grace, I권 16장). 여기서 처음 창조된 때의 아담의 상태에 대한 생각이 나타나 있다. 아담의 원상태 (처음 창조된 때의 상태) 아담이 창조된 때에 가졌던 처음의 온전함과 힘의 충만함은 타락하여 연약해진 우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는 사실 적시로부터 시작한다. 이를 우리에게 익숙한 계절에 ..
-
처음 창조된 상태에 대한 바른 이해(1)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 2025. 1. 12. 18:55
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11) 처음 창조된 상태에 대한 바른 이해(1) 창조 이야기를 역사적 이야기로 받아들이는 입장에서는 처음 창조된 상태에 대한 바른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창조된 상태를 역사적인 것으로 여기지 않는 분들에게는 처음 창조된 상태에 대한 논의가 사실상 무의미하게 된다. 오직 처음 창조를 역사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만 처음 창조된 상태에 대한 이해와 타락한 상태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인간이 처한 상태(state)와 그 구체적 모습(condition) 전통적으로 처음 창조된 상태를 본래의 상태라는 의미에서 원상(原狀)이라고 하였고, 이를 의(..
-
타락 이후 낙원에서 시작된 일반은총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 2024. 12. 10. 18:36
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10) 타락 이후 낙원에서 시작된 일반은총 카이퍼는 일반은총은 인간의 타락 이후에 하나님이 찾아오셔서 “아담아 네가 어디 있느냐?”고 물으실 때부터 주어지기 시작했다는 것을 아주 명확히 한다(CC, 1. 13. 2=1:112). 그러므로 일반은총은 인간 타락 이후의 낙원에서 시작된 것이다(1:113). 그러므로 “일반은총의 독특한 성격과 참된 성질을 알려면 낙원(paradise)으로 돌이켜”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하면서 카이퍼는 타락 후 낙원 상황에로 우리를 인도해 간다. 우문현답으로 제시된 일반은총 논의 카이퍼는 타락 전에 하나님께서 ..
-
노아 홍수가 가져온 변화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 2024. 12. 10. 18:31
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9) 노아 홍수가 가져온 변화 키이퍼는 노아 홍수 이후에 지구의 상황(an order of affairs)과 우리의 존재 상황(our existence)이 상당히 달라졌으며, 노아 홍수로 인해서 변한 상태에서 우리가 지금까지 그리고 예수님의 재림까지 산다는 것을 강조한다(CC, 1. 12. 1=1:102, 103). 카이퍼가 이점을 강조하는 이유는 노아 홍수가 가져온 변화의 사실에 충실하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특히 19세기에 이 점을 사람들이 충분히 눈여겨 보지 않고 스쳐 지나가는 것이 안타까와서이다. 홍수에서 인간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가 ..
-
창세기 9:6에 함의된 정부 제도의 제정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 2024. 12. 10. 18:23
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8) 우리는 지난번에 창세기 9:6에서 하나님께서 사형제도를 제정하셨다는 것을 논의했다. 하나님께서 이 말씀을 노아에게 하셨다면 우리는 이에 순종해야만 한다고 카이퍼는 강조한다(Common Grace, 1. 10. 1=1:83), 이 어귀에 대한 다른 이해들에 대한 논박(CC, 1:83-91)은 흥미로우나 그것을 자세히 다룰 필요는 없을 것이다. 창세기 9:6이 사형제도를 제정하신 것이라는 해석에는 이 구절에서 하나님께서 정부 제도를 수립하신 것이라는 함의도 들어 있다(1:101). 따라서 이번에는 이렇게 하나님께서 여러 사람들을 통치하는 제도를 수립하신 것, 즉 그런 통치를 감당하는 기관인 정부에 권위를 주신 것에 대해서 논의해 보기로 한다. 카이퍼는 창세기 9:6을 ..
-
정부와 사형 제도를 규정하신 하나님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 2024. 5. 25. 10:10
288 (2024년 6월호)에 실린 글을 여기에도 올려서 더 많은 분들이 읽고 생각하도록 합니다. 찬찬히 읽어 보셔요. ---------------------------------------------------------------------------------- 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의 대화(7) 정부와 사형 제도를 규정하신 하나님 아주 중요한 구절인 창세기 9:6을 생각할 때가 되었다. “다른 사람의 피를 흘리면 그 사람의 피도 흘릴 것이니, 이는 하나님이 자기 형상대로 사람을 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