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minb 2013. 3. 15. 21:48

종교개혁이 문화에 미친 영향

 

 

}요한 세바스챤 바하를 중심으로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들어 가는 말: 바하에 대한 다양한 평가들

} 1. 바하는 외적으로는 당시의 기독교적 표상의 세계에 매여 있었으나 사실 “합리주의가 그의 창작 활동의 기반이었으므로” 바하는 “세속적이며 발전적이고 무신론적인 계몽 사상가여서 교회의 굴레에서 벗어났다”고 하면서 “이것이야 말로 종교적 가면 아래 가려져 있는 바하의 참모습”
}“부르주아적이면서도 종국적으로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1950바하 서거 200주기를 기념하면서 라이프치히에서 바하 기념 주간을 개최하는 것에 대해서 논평하면서 독일의 민족 사회주의 대변인)

2. 신앙에서 나온 음악(Lilje 감독)

 

과연 어떤 것이 바른 평가일까?

1. 바하 가문에 대한 이해

 

}4대조 할아버지쯤 되는 Veit Bach
}(헝가리è 튜링겐(Thüringen) 지역
}Wechmar에와 정착, 1619년 사망
èHans Bach (1570년경-1626) 시악사 Gotha, Wechmar

 

è 1. Johannes Hans Bach (1604-1673), 시악사

    2. Christoph Bach (1613-1661) è

           시악사, Weimar, Erfurt, Arnstadt

    3. Heinrich Bach (1615-1692) 시악사

        èJohann Christoph Bach (1642-1703) Arnstadt, Eisenach, 오르가니스트 궁정악사, 작곡가

 

 

}Christoph Bach (1613-1661), 할아버지

         Weimar의 음악가

è1. Georg Christoph Bach (1642-1697)

         칸토르 , 작곡가

   2. Johann Ambrosius Bach (1645-1695)

       우리가 언급하는 세바스챤의 아버지

   3. Johann Christoph Bach (1645-1693)

    (에어푸르트와 아른슈타트의 궁정악사)

 

Johann Ambrosius Bach
             (1645-1695)

 

1671년부터  아이제나흐(Eisenach) 궁정음악가